|
|
방송 기간 | |
방송 시간 | |
방송사 | |
채널 | |
기획 | 시사교양본부 |
장르 | |
진행 | |
해설 | |
HD 제작여부 | HD 제작 ・ 방송(2005년 ~ 2013년) |
공식 홈페이지 | |
1. 개요2. 진행 방식2.1. 1 ~ 22회(2002년 11월 10일~2003년 4월 13일)2.2. 23 ~ 50회(2003년 4월 20일~2003년 11월 9일)2.3. 51 ~ 158회(2003년 11월 16일~2006년 1월 29일)2.4. 159 ~ 271회(2006년 2월 5일 ~ 2008년 4월 6일)2.5. 272 ~ ?회(2008년 4월 13일 ~ 2009년)2.6. 2009 ~ 2010년2.7. ? ~ 509회(2010년 ~ 2013년 4월 7일)2.8. 특집 진행 방식2.8.1. 13회(2003년 2월 2일, 패자부활전)2.8.2. 23회(2003년 4월 20일, 과학의 달 특집)2.8.3. 26회(2003년 5월 11일, 패자부활전)2.8.4. 38회(2003년 8월 3일, 여름 특집 1탄)2.8.5. 39회(2003년 8월 10일, 여름 특집 2탄)2.8.6. 44회(2003년 9월 14일, 추석 특집 스타 가족 퀴즈 열전)2.8.7. 51회(2003년 11월 16일, 패자부활전)2.8.8. 56회(2003년 12월 28일, 2003년 왕중왕전)2.8.9. 57회(2004년 1월 4일, 새내기 특집)2.8.10. 60회(2004년 1월 25일, 설 특집 가족 퀴즈 열전)2.8.11. 67회(2004년 3월 21일, 패자부활전)2.8.12. 77회(2004년 5월 30일, 아줌마 특집) 3. 역대 진행자4. 여담5. 퀴즈 영웅 자료5.1. 역대 영웅5.2. 역대 영웅 탄생 공백기5.3. 역대 연도 퀴즈 영웅 배출 숫자5.4. 퀴즈 영웅 연령대5.5. 역대 최고 상금 21세기 이공계 및 농어업계 인재 육성 프로젝트, 국내 최대 상금의 퀴즈 대회라는 슬로건을 들고 나온 퀴즈 프로그램으로 2002 ~ 2013년까지
KBS 1TV에서 매주 방송되었다.
첫방송된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4:3 비율의
아날로그 SD 방송으로 제작하다가 2005년 이후에 16:9 비율의
HD 방송으로 전환했다.
진행 방식은 전형적인
퀴즈쇼로, 예심을 통해 선발된 6명
[3]의
일반인[4][5]이 출연하여 서로 퀴즈 대결을 벌여 나온 우승자가 퀴즈 영웅에 도전하는 형식이다.
상금은 우승자가 쌓은 점수에 따라 달라지며, 이 상금에서 이공계 인재육성 장학금으로 50%를 기부한다.
[6] 매년 2월과 8월에 장학금으로 지급한다.
#2013년 4월 7일 마지막 방송(509회)까지 퀴즈 영웅은 총 62명일 정도로
[7] 퀴즈 영웅이 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편에 속했다. 퀴즈 영웅이 탄생하면 신문 등의 언론에서 해당 인물의 인생사를 감동적으로 다뤄주면서 기사로 만들었을 정도.
그 예로 43대 퀴즈 영웅이
2009년 8월 30일 패자부활전에서 나온 후
10개월이 지난
2010년 7월 4일이 되어서야
마의 44대 퀴즈 영웅이 나온 것을 보아서는
우리말 겨루기의 아성을 노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다가 44대 영웅이 나온 지 불과 일주일 만에 45대 영웅이 탄생했으며, 2010년 10월 10일에는 46대 영웅이 탄생하면서 특집 제외 역대 최다 상금인 6,000만 원을 받았다. 현재 규칙으로 받을 수 있는 이론상 최다 상금은 7,000만 원이다.
[8]2.1. 1 ~ 22회(2002년 11월 10일~2003년 4월 13일)
[편집]
2라운드
객관식 버저 형식
1~12회: 4지선다, 13~22회: 3지선다
5문제를 먼저 맞힌 2명이 3라운드에 진출한다. 단, 삼진아웃제가 있으며 걸리는 사람은 성적에 관계 없이 자동 탈락된다. 한 문제에서 두 사람이 맞히지 못했을 경우 진행자가 정답을 공개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7, 13회에서는 5연승 성공(퀴즈 영웅 탄생)으로 지난주 우승자가 없었기 때문에 먼저 5문제를 맞힌 한 명이 4라운드로 진출했고, 그 다음으로 5문제를 맞힌 두 명이 3라운드로 진출했다.
3회부터 6회까지는 한 문제씩 맞히지 못하면 버저에 X표가, 7회부터 22회까지는 옐로카드가 생겼다.
파이널 라운드(연승 결정전)
승부차기 방식
OX 퀴즈를 맞힌 도전자가 선후공을 결정한다.
우승자는 점점 더 커지는 누적 우승 상금과 함께 다음 주 연승에 도전할 자격이 주어지며 동점일 경우에는 연장전으로 이어진다. 이때는 전형적인 퀴즈뿐만 아니라, 영어 듣기 및 추론 문제가 출제되었다.
1회: OX 퀴즈 없이 3라운드 진출자가 먼저 문제를 선택했다. 이 때는 제시어가 없었으며 50문제 중 번호 한 개를 선택해서 문제를 풀어 6문제를 먼저 맞힌 도전자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회: 35문제 중 번호 한 개를 선택해서 문제를 풀었으며, 각자 5문제를 풀고 더 많이 맞힌 도전자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회부터 번호와 함께 제시어가 있었다.
3~22회: 20문제 중 번호 한 개를 선택해서 문제를 풀었으며, 각자 5문제를 풀고 더 많이 맞힌 도전자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제시어는 문제의 분야나 힌트를 표기한 게 아니다.
상금
구분 | 상금(만 원) |
1라운드 통과 | 50 |
2라운드 통과 | 100 |
3라운드 통과 | 200 |
1승 | 500 |
2승 | 1,000 |
3승 | 2,000 |
4승 | 3,000 |
5승 (퀴즈 영웅) | 5,000 |
연승제 우승자(퀴즈 영웅 제외)
우승자(대) | 성명 | 직업 | 방송 횟수(회) | 상금(만 원) | 비고 |
1 | 신민영 | 서울대학교 법학과 | 1 | 500 | |
2 | 곽성준 | 교보생명 기획팀 | 7 | 500 | |
3 | 백미자 | 주부 | 13 | | 10회 출연 |
4 | 우영진 | 연세대학교 신방과 | 14 | 500 | |
5 | 정원락 | 공익근무요원 | 15~16 | 1,000 | |
6 | 이남형 | 해군본부 전투발전단 중위 | 17~19 | 2,000 | |
7 | 조욱형 | 행정자치부 서기관 | 20~22 | 2,000 | 개편으로 인한 연승 종료 |
2.2. 23 ~ 50회(2003년 4월 20일~2003년 11월 9일)
[편집]
2라운드
개인별 주관식 문제로 구성.
2번 맞히지 못하면 자동 탈락하며 최후의 2인이 3라운드에 진출한다. 2라운드를 시작할 때 파란색 신호로 시작하며 문제를 맞히지 못할 때마다 신호등의 신호가 한 번일 때는 노란색, 두 번일 때는 빨간색으로 바뀐다. 모든 단계 종료 후 동점자가 있을 경우, 동점자 문제로 3라운드 진출자를 가린다.
2라운드 탈락자는 상금 20만 원을 획득한다.
3라운드
승부차기 방식으로 진행되는 1 대 1 승부.
10개의 제시어 중 본인이 풀 문제를 선택하며, OX를 통해 선택권이 주어진다.
1문제를 맞힐 때마다 500만 원씩 부여된다.
3라운드 탈락자는 상금 30만 원을 획득한다.
파이널 라운드
3라운드에서 적립된 상금을 걸고 주어진 4문제 중 3문제를 맞히는 방식이며 도전 상금에 따라 문제 난이도가 달라진다.
도전자는 세 가지 유형의 첫 번째 문제 제시어가 적힌 A, B, C 중 하나를 선택한다.(2004년 중반 이후에는 제시어 선택 없이 바로 시작하였다.)
도전에 실패할 경우 3라운드에서 적립된 상금의 10%를 획득한다.
2.3. 51 ~ 158회(2003년 11월 16일~2006년 1월 29일)
[편집]
이전 방식과 비슷하며, 기존 상금에서 +가 되는 식이다. 영웅 상금은 대체로 3,500~5,800만 원 선에서 형성되었고, 최대 9,290만 원(52~76회), 7,502만 원(77회~)의 상금을 쌓을 수 있다.
2.4. 159 ~ 271회(2006년 2월 5일 ~ 2008년 4월 6일)
[편집]
여기서부터 1~2라운드가 점수제로 개편되었다.
2007년 후반기부터 1, 2단계는 양자택일 문제를 풀고 점수가 낮은 2명은 탈락, 3단계는 4지 다택형, 4단계는 한 사람당 연속으로 주어지는 주관식 3문제(중간에 틀리면 남은 문제 풀 기회 상실)를 푼다.
3라운드에서는 선공권을 정하는 OX 퀴즈 이후 7단계 문제까지 먼저 맞히는 사람이 우승하면서 동남아 커플 여행권을 받게 되며, 중간에 5단계 문제를 먼저 맞히는 사람에게는 여행 상품권이 수여된다.
[13]
파이널 라운드(영웅 결정전)는 500만 원, 1,000만 원, 2,000만 원의 문제가 각각 3문제, 도합 9문제가 준비되어 있다. 여기서 3문제를 선택해서 2,000만 원 이상 적립할 경우 퀴즈 영웅에 등극하며 상금을 모두 획득한다. 이 방식에서는 최대 6,000만 원의 상금을 쌓을 수 있다.
2.5. 272 ~ ?회(2008년 4월 13일 ~ 2009년)
[편집]
파이널 라운드(영웅 결정전)는 1 대 1 대결에서 쌓은 상금에서 시작한다. 1문제를 맞힐 때마다 1,000만 원이 적립되며, 3문제를 풀어서 4,000만 원을 넘기면 퀴즈 영웅에 등극하면서 적립 상금을 가져갈 수 있다. 8개의 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면 분야가 공개되며 출제 전 한 문제에 따라 연관어 찬스를 사용할 수 있다.
1 대 1 대결
선공권은 더 높은 상금을 적립한 참가자에게 주어진다.
[14] 선택한 테마당 2개의 문제가 출제된다. 정답일 시, 200만 원이 적립되며, 오답일 시, 상대방 출연자가 맞힐 기회를 부여받는데, 맞히면 100만 원이 적립된다.
6개의 테마가 끝나고 공통 출제 문제(5문제)를 듣고 버저를 빨리 누른 쪽이 정답을 맞힐 기회를 부여받으며 맞히면 300만 원이 적립된다. 최종 상금이 더 높은 출연자가 퀴즈 영웅에 도전하게 된다. 공통 출제 문제 중 랜덤 한 문제는 여행 상품권이 걸려있기도 했다.
초창기에는 2006~2008년처럼 7문제를 먼저 맞히는 쪽이 파이널 라운드(영웅 결정전)에 진출했으며 1~6단계는 각각 200만 원, 7단계는 300만 원이 적립되었다.
시드는 좌측이
레드 시드, 우측이
블루 시드로 배정받으며 참가자가 동성인 경우 주로 객석 기준 가장 좌측에 있는 참가자가
레드, 가장 우측에 있는 참가자가
블루로 배정받았다.
[15] 참가자가 이성인 경우 코너 전반부는 남성 참가자가
레드, 여성 참가자가
블루로 시드를 받았지만 코너 후반부부터 말미까지는 여성 참가자가
레드, 남성 참가자가
블루로 시드를 배정받았다.
2.7. ? ~ 509회(2010년 ~ 2013년 4월 7일)
[편집]
영웅 결정전
2010~2012년: 영웅 결정 문제를 풀기 전 4개의 도움말 획득 문제를 풀며 맞힌 개수만큼 영웅 결정 문제의 도움말을 열어볼 수 있다.성공하지 못할 경우 다음 주 후반전에서 재도전이 가능하나 도움말 문제를 모두 풀지 못할 경우 재도전 기회도 박탈된다. 2012년부터는 다음 주 재도전이 없어지고 영웅 재도전 심기일전 특집을 통해 재도전이 가능하다. 단, 도움말 획득 문제를 하나라도 맞혀야 기회가 주어진다. 영웅 결정 문제를 맞힐 경우 퀴즈 영웅에 등극하며 후반전에 적립한 상금을 모두 획득한다.
2013년: 2003~2006년, 2009~2010년 파이널 라운드처럼 4문제 중 3문제를 맞히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때 문제당 분야가 공개되었다. 더블 찬스를 쓸 수 있는 기회가 한 번 있으며, 성공시 두 문제를 맞힌 것으로 인정. 도전에 성공하면 퀴즈 영웅에 등극하며 2라운드에 적립한 상금을 모두 획득한다.
2.8.1. 13회(2003년 2월 2일, 패자부활전)
[편집]
퀴즈 대한민국에서 진행한 첫 번째 패자부활전. 연승제 방식에서 진행한 패자부활전. 파이널 라운드에서 탈락한 7명이 출연했으며, 전체 진행 방식은 1~22회와 동일하다.
2.8.2. 23회(2003년 4월 20일, 과학의 달 특집)
[편집]
1라운드: 개인별 스피드 퀴즈 2문제와 공통 4지선다 객관식 3문제로 구성되며 맞힌 문제 수가 가장 적은 한 명이 탈락한다.
2라운드: 전과 동일하며, 여기선 답을 모를 경우 찬스를 사용해서 다음 사람에게 문제를 넘길 수 있음.
[16]3라운드: 10개의 제시어 중 상대방이 풀 문제를 정하는 승부차기 방식으로 진행. 맞히면 한 문제당 500만 원 적립. 출연자마다 3문제를 풀며, 문제를 많이 맞힌 도전자가 파이널 라운드에 진출한다.
파이널 라운드(영웅 결정전)
출제되는 3문제를 모두 맞혀야 퀴즈 영웅에 등극하며, 3라운드에서 적립된 상금을 모두 획득한다.
도전자는 세 가지 유형의 첫 번째 문제 제시어가 적혀 있는 A, B, C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답을 모를 경우, 한 번 찬스를 쓸 수 있다. 자신이 생각하는 답의 자음을 말하면 그 자음에 해당하는 글자가 열린다.
2.8.3. 26회(2003년 5월 11일, 패자부활전)
[편집]
두 번째 패자부활전이자 단승제로 진행 방식을 바꾼 후 진행한 첫 패자부활전. 파이널 라운드에서 탈락한 도전자 6명이 출연했으며, 전체 진행 방식은 23~50회와 동일하다.
2.8.4. 38회(2003년 8월 3일, 여름 특집 1탄)
[편집]
세 번째 패자부활전이자 단승제 개편 후 진행한 두 번째 패자부활전. 26회 패자부활전과 달리 우승자가 아니었던 도전자들도 출연했으며 전체 진행 방식은 23~50회와 동일하다.
2.8.5. 39회(2003년 8월 10일, 여름 특집 2탄)
[편집]
'빅 게임! 누가 이공계 최고의 영재인가!'라는 부제로 진행되었으며 이공계 학생 6명이 출연했다. 전체 진행 방식은 23~50회와 동일하다.
2.8.6. 44회(2003년 9월 14일, 추석 특집 스타 가족 퀴즈 열전)
[편집]
2인 1조로 진행되었으며, 총 다섯 팀이 출연했다.
1라운드: 스피드 퀴즈. 팀별로 한 사람당 한 문제씩 풀며 2문제를 모두 맞힐 경우 2라운드에서 쓸 수 있는 찬스를 획득한다.
2라운드: 23~50회 2라운드 진행 방식과 동일. 3단계(주관식 문제)부터 찬스를 쓸 수 있으며 답을 모를 때 답의 첫 글자를 진행자가 알려줌.
3라운드, 파이널 라운드(영웅 결정전): 23~50회 3라운드, 파이널 라운드(영웅 결정전) 진행 방식과 동일.
2.8.7. 51회(2003년 11월 16일, 패자부활전)
[편집]
네 번째 패자부활전이자 2003년 마지막 패자부활전. 출연자 구성은 38회와 동일하며 전체 진행 방식은 51~158회와 동일하다.
2.8.8. 56회(2003년 12월 28일, 2003년 왕중왕전)
[편집]
2002~2003년에 탄생한 퀴즈 영웅 중 6명(1대 퀴즈 영웅(이유미), 2대 퀴즈 영웅(조성용), 4대 퀴즈 영웅(윤지연), 5대 퀴즈 영웅(권영철), 6대 퀴즈 영웅(양선미), 7대 퀴즈 영웅(류덕형)), 연승제 우승자 중 1명(3승 챔피언 조욱형)
[17]이 출연했다.
전체 진행 방식은 51~158회 진행 방식과 동일하다.
3라운드에서 왕중왕전 우승자가 결정되었으며, 왕중왕전 우승자에게는 트로피와 함께 4인 가족 6박 7일 해외 여행권이 수여되었다.
파이널 라운드
51~158회 파이널 라운드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파이널 라운드 첫 번째 문제는 왕중왕전에 출연한 퀴즈 영웅들이 직접 출제한 문제를 선택해서 풀었다.
왕중왕전 우승자가 도전에 성공하면 적립된 상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기부하며, 실패할 경우 적립된 상금의 절반을 기부한다.
2.8.9. 57회(2004년 1월 4일, 새내기 특집)
[편집]
'2004 새 출발 새내기 특집'이라는 부제로 진행되었으며, 초등 교사 임용 예정자, 신인 개그맨, 새내기 전업 주부, 예비 법조인, KBS 신입 아나운서, 새내기 택시 기사가 출연했다. 전체 진행 방식은 51~158회와 동일하다.
2.8.10. 60회(2004년 1월 25일, 설 특집 가족 퀴즈 열전)
[편집]
2인 1조로 진행되었으며, 총 다섯 팀이 출연했다. 전체 진행 방식은 51~158회와 동일하다.
2.8.11. 67회(2004년 3월 21일, 패자부활전)
[편집]
다섯 번째 패자부활전이자 2004년 첫 패자부활전. 출연자 구성은 38회와 동일하며 전체 진행 방식은 51~158회와 동일하다.
2.8.12. 77회(2004년 5월 30일, 아줌마 특집)
[편집]
개인전으로 진행되었으며, 6명이 출연했다. 전체 진행 방식은 51~158회와 동일하며 1라운드, 2라운드 문제별 상금이 축소되었다.
진행자 | 기간 |
| 2002년 11월 10일 ~ 2007년 11월 11일 |
| 2007년 11월 18일 ~ 2008년 11월 16일 |
| 2008년 11월 23일 ~ 2010년 5월 9일 |
| 2010년 5월 16일 ~ 2011년 5월 29일 |
| 2011년 6월 5일 ~ 2013년 4월 7일 |
2006년 1월 8일에는
송중기[21], 2009년 10월 18일에는 화인티비가 이 프로그램에 나와 준우승을 기록한 적이 있다.
2023년 7월 10일부터 12월 4일까지
에헤라 티비 : KBS LIFE(舊 KBS LIFE) 채널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이 프로그램을 5연승제였던 1회부터 22회까지 업로드되었다. 이후, 2023년 12월 18일부터 2025년 2월 17일까지
KBS 교양 채널에서 23회부터 84회까지 업로드되었다.
[22]
영웅(대) | 성명 | 직업 | 방송 횟수(회) | 상금(만 원) | 비고 |
1 | 이유미 | 주부 | 2~6 | 5,000 | 1대와 2대는 5연승으로 퀴즈영웅이 되었다. |
2 | 조성용 | | 8~12 |
3 | | 코미디언 | 23 | 2,000 | |
4 | 윤지연 | | 27 | 2,500 | |
5 | 권영철 | | 29 | 2,000 | |
6 | 양선미 | 주부 | 34 | |
7 | 류덕형 | | 36 | 3,500 | |
8 | 김정용 | | 39 | 1,500 | |
9 | | 배우, 성형외과 의사 | 44 | 4,000 | |
10 | 이보람 | | 53 | 500 | |
11 | 이용석 | 열쇠수리공 | 55 | 3,725 | |
12 | 조욱형 | | 56 | 6,340 | 20~22회까지 3연승 성공. 진행 방식 개편으로 연승 종료. 2003년 왕중왕전 우승, 영웅 등극. |
13 | 김형철 | 프로그래머 | 70 | 3,865 | |
14 | 김혜경 | 주부 | 88 | 5,168 | 2004년 왕중왕전 우승자 |
15 | 배경택 | | 98 | 5,172 | |
16 | 이화섭 | | 102 | 3,950 | |
17 | 이창환 | | 108 | 5,810 | |
18 | 박영자 | 주부 | 132 | 5,600 | 2006년 왕중왕전 우승자 |
19 | 심승희 | 주부 | 135 | 5,430 | |
20 | 정성욱 | 광주 어룡초등학교 컴퓨터 강사 | 147 | 4,200 | |
21 | 양희영 | 김제 비룡초등학교 교사 | 159 | 2,000 | |
22 | 김치완 | | 160 | |
23 | 박승관 | 퇴역 군인 | 162 | |
24 | | 방송 리포터 | 167 | |
25 | 김철호 | 서울 숭덕초등학교 교사 | 182 | |
26 | 서기호 | | 196 | |
27 | 고형주 | | 204 | 3,000 | |
28 | 홍성진 | 제주 해양경비단 | 214 | 2,000 | |
29 | 권오식 | 공인중개사 | 219 | |
30 | 고재열 | 기자 | 220 | |
31 | 최광천 | (주) 카프코 영업소장 | 236 | |
32 | 박밀향 | 주부 | 244 | 2007년 왕중왕전 우승자 |
33 | 장래형 | 이발사 | 250 | 3,000 | 2010년 우리말 겨루기 제19대 우리말 달인 등극 2013년 500회 특집 보고 싶은 영웅 준우승자 |
34 | 김시은 | 대전 만년중학교 교사 | 251 | 2,000 | 2013년 500회 특집 보고 싶은 영웅 우승자 |
35 | 김지한 | (주) 제노 대표 | 262 | |
36 | 도정호 | | 282 | 4,800 | |
37 | 천수민 | 경기물류고등학교 1학년 | 297 | 4,300 | |
38 | 박춘록 | 주부 | 307 | 4,900 | 2007년 우리말 겨루기 제9대 우리말 달인 등극 2009년 왕중왕전 우승자 2012년 10주년 특집 왕들의 귀환 우승자 |
39 | 조수현 | 경기물류고등학교 2학년 | 312 | 4,000 | |
40 | 이수경 | 경기물류고등학교 1학년 | 315 | 4,100 | |
41 | 오경미 | 주부 | 317 | 4,300 | |
42 | 강현민 | 경기물류고등학교 3학년 | 323 | 4,500 | |
43 | 김영산 | | 343 | 3,000 | |
44 | 임성모 | 트럭 기사 | 382 | 4,000 | |
45 | 김태오 | 119 구조대원 | 383 | 3,500 | 2011년 왕중왕전 우승자 2012년 10주년 특집 왕들의 귀환 준우승자 |
46 | 임동규 | | 394 | 6,000 | |
47 | 권오신 | 안동문화원 강사 | 398 | 4,000 | |
48 | 박말임 | 부산 사상여성인력개발센터관장 | 399 | 5,500 | |
49 | 김태완 | 회사원 | 408 | 4,000 | |
50 | 최성준 | 감정평가사 | 424 | 4,500 | |
51 | 엄민아 | 초등교사 | 428 | |
52 | 전은숙 | 문화유산해설사 | 430 | 5,000 | |
53 | 백옥 | 회사원 | 435 | 3,500 | |
54 | 서승희 | 주부 | 442 | 5,000 | |
55 | 장준호 | 무직 | 459 | |
56 | 김용진 | | 466 | |
57 | 소은숙 | 학원 준비 중 | 470 | 4,000 | |
58 | 나정희 | 약사 | 474 | 5,000 | 2012년 왕중왕전 우승자 |
59 | 염상진 | | 486 | 4,000 | |
60 | 염봉희 | 주부 | 491 | 3,000 | 2012년 왕중왕전 준우승자 |
61 | 고은혜 | 공인중개사 준비 중 | 499 | 5,000 | |
62 | 윤혜리 | 프리랜서 방송인 | 507 | 2,800 | 마지막 퀴즈 영웅 |
영웅 | 차이(영웅 탄생 방송 횟수) |
1 | (6) |
2 | 6(12) |
3 | 11(23) |
4 | 4(27) |
5 | 2(29) |
6 | 5(34) |
7 | 2(36) |
8 | 3(39) |
9 | 5(44) |
10 | 9(53) |
11 | 2(55) |
12 | 1(56) |
13 | 14(70) |
14 | 18(88) |
15 | 10(98) |
16 | 4(102) |
17 | 6(108) |
18 | 24(132) |
19 | 3(135) |
20 | 12(147) |
21 | 12(159) |
22 | 1(160) |
23 | 2(162) |
24 | 5(167) |
25 | 15(182) |
26 | 14(196) |
27 | 8(204) |
28 | 10(214) |
29 | 5(219) |
30 | 1(220) |
31 | 16(236) |
32 | 8(244) |
33 | 6(250) |
34 | 1(251) |
35 | 11(262) |
36 | 20(282) |
37 | 15(297) |
38 | 10(307) |
39 | 5(312) |
40 | 3(315) |
41 | 2(317) |
42 | 6(323) |
43 | 20(343) |
44 | 39(382) |
45 | 1(383) |
46 | 11(394) |
47 | 4(398) |
48 | 1(399) |
49 | 9(408) |
50 | 16(424) |
51 | 4(428) |
52 | 2(430) |
53 | 5(435) |
54 | 7(442) |
55 | 17(459) |
56 | 7(466) |
57 | 4(470) |
58 | 4(474) |
59 | 12(486) |
60 | 5(491) |
61 | 8(499) |
62 | 8(507) |
5.3. 역대 연도 퀴즈 영웅 배출 숫자
[편집]
연도 | 영웅 탄생수 |
2002 | 1 |
2003 | |
2004 | 4 |
2005 | 4 |
2006 | 7 |
2007 | 7 |
2008 | 4 |
2009 | 5 |
2010 | 5 |
2011 | 6 |
2012 | |
2013 | 2 |
연령대 | 인원 |
10 | 5 |
20 | 16 |
30 | 17 |
40 | 13 |
50 | 6 |
60 | 5 |
순위 | 방송 횟수 | 이름 | 나이 | 상금(만 원) |
1 | 398 | 권오신 | 64 | 4,000 |
2 | 491 | 염봉희 | 63 | 3,000 |
3 | 162 | 박승관 | 62 | 2,000 |
4 | 219 | 권오식 | 61 | 2,000 |
459 | 장준호 | 5,000 |
5 | 382 | 임성모 | 57 | 4,000 |
순위 | 방송 횟수 | 이름 | 나이 | 상금(만 원) |
1 | 315 | 신정한 | 11 | 4,100 |
2 | 491 | 염상진 | 17 | 4,000 |
3 | 108 | 이창환 | 18 | 5,810 |
394 | 임동규 | 6,000 |
4 | 196 | 고형주 | 19 | 3,000 |
5 | 39 | 김정용 | 20 | 1,500 |
102 | 이화섭 | 3,950 |
312 | | 4,000 |
순위 | 방송 횟수 | 도전 상금(만 원) | 획득 상금(만 원) |
1 | 64 | 6,670 | 667 |
2 | 137 | 6,570 | 657 |
3 | 446 | 6,500 | - |
4 | 120 | 6,470 | 647 |
5 | 56 | 6,340 | 6,340 |
6 | 86 | 6,268 | 626.8 |
7 | 100 | 6,213 | 621.3 |
8 | 131 | 6,080 | 608 |
9 | 93 | 6,071 | 607.1 |
10 | 394 | 6,000 | 6,000 |
477 | - |
순위 | 방송 횟수 | 이름 | 획득 상금(만 원) |
1 | 56 | 조욱형 | 6,340 |
2 | 394 | 임동규 | 6,000 |
3 | 108 | 이창환 | 5,810 |
4 | 132 | 박영자 | 5,600 |
5 | 399 | 박말임 | 5,500 |